July 29, 2021
선언한 변수 이름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 메모리를 얼마만큼 사용하겠다는 뜻
값 대입
int level = 10;
// 메모리의 int형 크기(4바이트) 공간이 level이라는 이름으로 할당된다.
⚡변수 이름 정할 때 제약사항⚡
$
, _
만 사용 가능자바 라이브러리에서 기본으로 제공. 얼마만큼의 메모리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이미 정해져있음.
크기/형태 | 정수형 | 문자형 | 실수형 | 논리형 |
---|---|---|---|---|
1바이트 | byte | - | - | boolean |
2바이트 | short | char | - | - |
4바이트 | int | - | float | - |
8바이트 | long | - | double | - |
정수 자료형
L
/l
붙임
예) long num = 12345678900L;
문자 자료형
실수 자료형
F
/f
붙임
예) float num = 3.14F;
= 클래스형 (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)
변수에 값 대입시나 연산시에 자동으로 이루어짐
byte b = 10;
int i = b; // byte형 변수 b가 int형으로 자동 형변환
int i2 = 20;
float f = i2; // 같은 4바이트지만 int형 변수가 덜 정밀하므로 float형으로 자동 형변환
int i2 = 20;
float f = i2;
double d = i2 + f; // 1) i2 + f 에서 int형이 float형으로 변환
// 2) 더한 결과값이 d에 대입되면서 double형으로 변환
int i = 10;
byte b = (byte) i; // int형을 강제로 byte형으로 형변환
상수(constant)
final
예약어를 사용해 선언
final int MAX_NUM = 100;
리터럴(literal)
char ch = 'A';
int num = 10;
final double PI = 3.14;
// 여기서 'A', 10, 3.14 가 모두 리터럴이다